내시 균형이라는 이론이 있다. 1994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존 포브스 내시가 만든 개념이며,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됐다. 내시 균형이란 게임에서 경쟁자 전략을 알고 있다고 가정할 때 이에 따른 최선의 선택을 하고, 참여자 모두가 자신의 선택을 유지하는 균형 상태를 뜻한다.


 내시 균형은 다양한 영역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국회 정치 협상 과정, 조직 내 임금단체 협상, 인사부서 인력 재배치 정책 등 사회 전체 관점에서 작은 조직 내 의사 결정까지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 포커나 게임에서도 적용이 쉽다. 혁신을 추구하는 조직이면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한정된 자원을 재배치하는데 이때도 어떤 전략으로 움직일지를 놓고 고민하게 된다. 조직 내에서 혁신을 추구할 때 항상 변화를 원하지 않고 현재를 고수하려는 참여자가 있기 마련이다. 이런 참여자가 한 곳이 아니고 둘 이상이면 갈등을 해결하는 길은 복잡해진다. 작은 변화를 혁신 성과로 포장하고, 문제의 근원에는 접근도 못하고 마무리되는 경우가 다반사다.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혁신 전략 및 도구 이해 부족이다.


 현재 상태는 기술만 있고 전략이 없다. 막연한 포괄된 키워드와 이상만 난무하고 있다. 어떤 문제를 해결할 때 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근원 질문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수 없다면 전형적인 프로세스와 이를 관리하는 지표에 따라 굳어진 업무 행태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최근 AI를 이용해 내시 균형 문제를 계산하고 사전에 변화를 예측하는 현실 사례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복잡한 문제를 풀어낼 때 첫 번째 자원을 투하해 변화를 이끌 병목 구간을 찾아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부문 최적화로 인해 전체에 해를 끼치거나 오히려 혁신에 역행하는 일이 없이 온전히 전체 목표에 부합하는 혁신 전략의 행보를 자신감 있게 내디딜 수 있는 것이다. 실타래를 풀어내기 위해서는 눈에 보이는 한 가닥을 손쉽게 당기는 것보다는 조금 떨어져서 큰 시각으로 전체 얽힌 모습을 보고 충분한 호흡으로 정확한 맥을 짚어 내는 지혜가 필요하다.


(전문보기 : http://www.etnews.com/20190219000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