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 정부는 국가 차원의 최초의 사이버안보전략을 발표하였다. 이미 사이버안보에 대한 전략을 운영해 온 선진국들이 이 분야에 대규모 예산을 배정하고 우수 인력과 관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환경을 조성한 것에 비하면 늦은 것이지만, 지금부터 체계적이며 일관성 있는 정책을 펼친다면 충분히 사이버 강국의 틀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동북 아시아에서의 사이버 위협에 대한 우리의 진전된 행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다.


(...)


 최근의 한반도를 둘러싼 첨예한 안보환경에서 참여하는 당사자들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문제를 푸는 첫 번째 열쇠일 것이다. 특히 최고의 패권국가인 미국 내 정보분야 의사 결정자 그룹의 시각과 판단은 우리의 국익에 직접 영향을 끼친다. 최근 북한의 사이버 역량 증대에 대한 우려를 단순히 많은 해킹 공격 가능성 중의 하나로 치부해서는 안될 것이다. 작은 이벤트 하나가 가져올 나비효과로 인하여 국가가 위기에 봉착할 수 있다는 편집증적 수준의 사이버 위기관리 체계 운영이 현 시점에서 필요할 것이다.


(전문보기 :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9051302102369061002&ref=n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