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산업의 역사는복잡성과의 치열한 전쟁을 담은 기록이기도 하다. 잊을 만하면 불거지는대규모 리콜은 부끄러움의 기록인 동시에 영광의 상처다.


 리콜은 이미 출시한 제품에 결함이 있거나 결함의 소지가 발견될 경우 이를 무상으로 수리하거나 교환해 주는 제도다. 자동차업계의 전유물은 아니지만, 비율이 높은 건 부인할 수 없다. 미국 로펌 해리스로리맨튼이 지난해 선정한미국 10대 리콜순위를 보면,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관련 리콜이 절반을 차지한다.


 전문가들은 자동차에 각종스마트 기능이 강화되고 있기 때문에 보안 역량을 높이는 것도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 극복해야 할 중요한 과제가 됐다고 지적한다.


 국내 최고 보안 전문가로 꼽히는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이코노미조선인터뷰에서 "미국의 경우 2015년 피아트크라이슬러가 해킹 가능성을 이유로 지프 체로키 140만 대를 리콜한 것을 계기로해킹 취약점이 곧 제조물의 결함이며, 따라서 집단 소송과 대규모 과징금 징수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미국은 소방차·구급차와 대통령 의전 차량 등 관용차의 보안 기준 강화를 위한 10년짜리 기준 개발 로드맵을 시행 중인데, 관용차 제조사 대부분이 민간 차량도 만들기 때문에 결국 미국 자동차 시장의 보안 기준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전문보기 :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4/05/201904050218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