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교수 | 이동훈 | ||
---|---|---|---|
주 소 | 서울시 성북구 안암 5가 고려대학교 과학도서관 215호 | ||
전화번호 | (02) 3290 - 4259 | 홈페이지 | http://protocol.korea.ac.kr/ |
소 개 |
암호프로토콜 연구실은 보안에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암호 이론과 암호 기술들의 안전성을 증명하기 위한 모델에 대하여 연구한다. 공개키 암호, 전자서명, 인증 및 키 교환을 비롯하여 암호 기술을 설계하기 위한 프리미티브도 함께 연구하고 있다. 다양한 환경에 적합한 효율적이고 안전한 암호학적 프로토콜을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국제 학회 및 저널에 이와 관련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암호프로토콜 연구실은 많은 과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한국연구재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 등이 주관하는 국책과제 및 기업과제를 수행하였다.
세부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차세대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 설계 및 안전성 분석: 공개키 암호는 상대방과의 비밀키 교환작업 필요없이 비밀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 인터넷 환경을 확장시킨 매우 중요한 기술로 볼 수 있다. 암호프로토콜 연구실에서는 급변하는 인터넷 환경에 필요한 기능과 안전성을 고려한 차세대 암호기법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데이터 가공 서비스가 중요한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 반면 데이터 프라이버시의 위험도 커지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인 함수암호와 같은 차세대 공개키 암호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도 안전한 공개키 암호 연구: 현재 인터넷 환경에 널리 사용되는 공개키 알고리즘(RSA, ECDH, ElGamal 등)은 가까운 미래의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 안전하지 않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현재의 공개키 알고리즘을 대체하기 위한 연구가 학계 및 산업계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암호프로토콜 연구실은 래티스(Lattice) 상의 문제 등,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도 쉽게 풀리지 않는 수학적 난제를 기반으로 새로운 공개키 알고리즘 설계 및 구현 그리고 안전성 증명에 대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영지식 증명 프로토콜 및 암호화폐 보안: 블록체인 기술이 대중화되면서 개발자들의 전자서명 및 영지식 증명 프로토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암호프로토콜 연구실은 공개키 알고리즘과 더불어 전자서명 및 영지식 증명을 지속적으로 연구해온 연구실로, 특히 Threshold key 관리, MPC, 영지식 증명 등 암호화폐 보안의 핵심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생체 인증 프로토콜: 사용자 편의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사용자 생체 인증을 암호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연구하고 있다. 난수 추출 기(Fuzzy Extractor)와 같은 생체 인증의 기본 프리미티브의 확장 연구 및 새로운 방식의 생체 인증 프로토콜 개발 및 안전성 증명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학회참석, 아카이브(The Cryptology ePrint Archive) 검색 등을 통해 진행중인 주제 이외에도 공개키 암호연구 분야에서 최신 이슈 연구분야에 관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있다.
|
||
논문 리스트 | https://scholar.google.co.kr/citations?user=UPhwO9EAAAAJ&hl=en | ||
소개 영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