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럽을 강타한 '페트야(PETYA)' 랜섬웨어가 우크라이나를 노린 러시아 해커들의 소행일 가능성이 확산하면서 한국의 사이버 안전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번 공격의 경우 사정권에서 벗어나 국내 피해가 크지 않았지만, 해커들이 한국을 작정하고 노린다면 피해규모가 상상을 초월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북한, 중국 등 사이버 위협 위험국가가 인접한 우리나라의 경우 페트야 사례처럼 특정국가를 타깃으로 한 해커 공격의 가능성이 충분한 만큼 보안투자를 확대하는 등 대응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국내 보안 투자는 여전히 뒷전이다.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에 따르면 올해 국내 정보보안 예산은 전년 대비 3.8% 늘어난 3508억원으로 전체 국가 예산의 0.088%에 그쳤다.

 미국은 정보보호 예산이 190억달러( 21조원)로 전체 국가 예산의 0.45%에 달했고, 영국은 19억유로( 23천억원)으로 국가 예산의 0.25%를 차지했다.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임종인 교수는 "최근 사이버 공격의 특성상 한 군데가 뚫리면 다른 곳도 연쇄적으로 감염될 가능성이 크다" "정부가 나서 보안이 취약한 영세 기업과 대학교, 기관 등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침해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관련 법과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문보기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7/02/0200000000AKR20170702025900017.HTML?input=1195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