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인공지능(AI)이 대두되면서 윤리적 문제도 화두가 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모든 데이터가 연결되기 때문에 윤리 문제는 꼭 짚고 넘어가야 할 사항이다. 그 가운데에서도 향후 AI 시대 도래에 따른 직업윤리와 사회윤리가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인터넷윤리학회는 보안과 윤리 측면에서 직업윤리와 이용자 및 사회윤리를 큰 화두로 꼽았다. 한국인터넷윤리학회 권헌영 회장(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인공지능 시대가 되면서 직업윤리가 중요해지고 있다이를테면 코딩 전문가의 윤리관이 잘 서 있어야 윤리적 해커가 나올 수 있듯이 AI 시대 직업윤리에서 가장 중요한 건 전문성이다. 전문가는 자기가 맡은 일에 대해나는 몰랐는데라는 말이 나오면 안 되며, 신기술과 새로운 서비스 환경에 맞춰 가장 전문적인 지식을 갖춰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헌영 회장은윤리적 가치가 각 분야별 전문가에게 적용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지침과 직업윤리 규정이 마련돼야 한다전문가들이 갖춰야 하는 일관된 행동강령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덧붙여 권 교수는윤리와 기술기준, 그리고 법적 책임과 규제가 이제는 구분될 수 없는 시대로 가고 있는 만큼 공론화 과정이 필요하다. 이는 매우 중요한 의미로 그동안 윤리는 누군가 정해놓은 것을 지키도록 했다면, 이제는 디지털 시민주권(Digital Citizenship)을 바탕으로 제품개발, 법제도 등을 처음 만들 때부터 참여해 윤리적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여전히 이용자 윤리의식이 부족하다는 권 교수는서로 배려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아직까지 정부와 인터넷 사업자에게 맡기는 경향이 있는데, 다양한 공동체의 협력과 공동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서는 법학, 인문학, 교육학, 보안, 언론 등을 총망라한 각 분야 학자, 공무원, 연구원, 시민단체 등 다양한 직군이 참여해 서로 피드백이 이루어지는 구조가 돼야 한다며, 권 회장은 윤리적 기준 합의를 위한 다음의 6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윤리 규범은 함께 만들고 함께 지켜야 한다

△윤리 규범의 설정과 관리에 과학적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

△윤리 기준의 설정에는 관련 당사자 모두의 측면이 고려돼야 한다

△가장 적합한 수단을 적용해야 한다

△윤리 기준은 각 분야에 적합하게 자율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윤리 기준은 주기적으로 수정 및 보완돼야 한다

 

(전문보기 :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66904&ki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