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송합니다'라는 유행어가 있다. '문과생이라서 죄송합니다'라는 의미다. 최근에 유명 작가가 가상화폐를 주제로 한 TV토론회에서 과학기술 지식이 부족함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했다. 고등학교에서 문과와 이과 구분은 일제 잔재라는 지적이 있었고, 2001년 고등학교에 입학한 학생을 마지막으로 문·이과 구분이 공식 폐지됐지만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여전히 문·이과가 구분되고 있다.

그러나 20세기 중반부터 학문에 융합 흐름이 나타나면서 오늘날에는 지식 영역 경계에 따라 각 학문을 개별 연구하지 않고 통합 접근하는 것이 주류로 떠올랐다. 이과 영역에 속하는 과학기술의 진보는 빠르다는 말로 부족하고, 오히려 사회 변화를 급속도로 이끌고 있다. 인공지능(AI) 과학자 겸 미래학자 레이먼드커즈와일은 2040년께가 되면 AI 발전으로 인한 기술 변화 속도가 급속히 빨라지고 미치는 영향이 넓어져서 인간 생활이 되돌릴 수 없도록 변화하는 기점이 온다고 예측했다.

과학기술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 과학 및 합리에 맞는 의사 결정을 하는 과정은 적게는 현실에서 스스로를 고립시키는 다양한 편견으로부터 자신을 배제하고, 크게는 기술 환경에 대한 통찰력과 나아가 기술 철학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과학기술과 사회철학이 필요하다는 근간에서 이 작은 시장의 왜곡을 억제하고 성공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해야 한다. 기술을 이해하지 못하면 의사 결정에 실패할 수 있다. 21세기 사고방식의 정부 정책을 기대하려면 '문송'한 분들의 입에서 나오는 말을 조심해야 한다.

 

(전문보기 : http://www.etnews.com/20180220000308)